투자 마인드

2023년 부동산 시세는 어떻게 될까?

echallenger 2023. 7. 12. 13:52
반응형

2023년 부동산 시세는 어떻게 될까?

 
 

2023년 부동산 시세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정책, 경제 상황, 수요와 공급, 지역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최근의 통계 자료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2023년 부동산 시세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주택 매매 거래량과 가격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4월까지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2.8% 감소하였고, 광역시는 6.7%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부산과 대구는 각각 18.9%, 15.8%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주택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5월까지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서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2%, 전년 동기 대비 -4.05%로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은 -0.28%, -5.11%로 더 크게 하락하였고, 광역시는 -0.18%, -2.97%로 하락하였습니다.

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매매가격은 2023년 4월까지 전월 대비 0.69%, 전년 동기 대비 1.79%로 상승하였으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83%, 전년 동기 대비 2.22%로 더 높게 상승하였습니다.

 
 

주택 전월세 거래량과 가격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주택 매매 거래량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4월까지의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였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9.9% 증가하였고, 광역시는 11.7%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대전과 광주는 각각 23.5%, 22.2%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주택 전월세 가격은 주택 매매 가격과 반대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5월까지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서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31%, 전년 동기 대비 -6.03%로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은 -0.38%, -7.35%로 더 크게 하락하였고, 광역시는 -0.26%, -4.67%로 하락하였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은 2023년 3월까지 전월 대비 0.15%, 전년 동기 대비 -3.86%로 감소하였습니다.

 
 

마무리

 
2023년 부동산 시세는 주택 매매 가격은 하락하고, 주택 전월세 가격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경제 불확실성,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동산 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은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적, 기간, 지역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rt.molit.go.kr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rt.molit.go.kr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동산 통계, 지가, 월세, 전세, 매매 가격 동향 안내.

www.reb.or.kr

 

반응형